눈 혈자리 : 거북목과 눈 피로를 동시에 관리하는 방법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된 현대 사회에서는 눈의 피로와 거북목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력이 약해지면 눈을 더 가까이 보게 되어 거북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이 글에서는 시력 보호를 위한 바른 자세 요령과 함께 거북목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 했었습니다.
전에 글  내용 

그만큼 눈의 피로와 시력의 자신의 체형에도 않좋은 영향을 주게 마련 입니다.

그래서 12경락에속한 혈자리를 눌러주면 좀 더 눈에 좋아지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담경락 눈에 좋은혈 자리입니다.

 

눈에 좋은 혈자리 우리에게는 익숙한 혈자리로 바로 관자놀이를 말한다.
눈에 좋은 혈자리 우리에게는 익숙한 혈자리로 바로 관자놀이를 말한다.

 

태양혈은 눈 바깥쪽 눈썹 끝과 관자놀이 사이 움푹 들어간 부분에 위치해 있습니다. 쉽게 찾으려면 눈썹 바깥쪽 끝에서 약간 뒤쪽으로 손가락을 이동하면 손가락이 들어가는 부위가 태양혈입니다.

태양혈을 자극할 때는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눌러주거나 원을 그리며 마사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양손으로 동시에 누르면 긴장 해소 효과가 큽니다. 3초 정도씩 눌렀다가 천천히 떼는 방식으로 반복하면, 눈 주위의 피로가 덜어지고 관자놀이가 시원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뜻한 손으로 지압하면 혈액 순환이 촉진되어 눈과 머리가 한결 편안해집니다.

 

태양혈(太陽穴)은 두통과 눈의 피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혈자리로, 특히 눈 주위의 긴장과 혈액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담경(膽經)에 속하며, 이 부위를 자극하면 눈의 피로와 두통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태양혈 자극은 눈의 피로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성 두통 완화에도 효과적입니다.

 

눈에 좋은 풍지혈은 목 뒤 중앙에서 양쪽으로 1.5센티 정도 떨어져있는 오목한 곳, 다시 말해 목 뒷덜미 쪽에 푹 패인 곳에 위치
눈에 좋은 풍지혈은 목 뒤 중앙에서 양쪽으로 1.5센티 정도 떨어져있는 오목한 곳, 다시 말해 목 뒷덜미 쪽에 푹 패인 곳에 위치

 

풍지혈은 목 뒤쪽, 귀 뒤쪽 머리카락 라인 바로 아래 움푹 들어간 부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부위를 찾으려면 머리를 살짝 숙인 상태에서 양손의 엄지를 목 뒤쪽에 위치한 움푹 들어간 곳에 가져가면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부분이 풍지혈입니다.

풍지혈을 자극할 때는 양손의 엄지로 부드럽게 눌러주거나 원을 그리며 마사지하면 좋습니다. 한 번에 5초 정도씩 천천히 눌렀다가 떼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가벼운 압력으로 지그시 문질러주면 목과 머리의 긴장이 풀리고, 눈이 시원해지는 효과를 느

 

낄 수 있습니다. 따뜻한 손을 사용하여 지압하면 혈액 순환이 더 잘 되어 효과가 더욱 높아집니다.

풍지혈(風池穴)은 목과 머리, 눈의 피로를 완화하고, 두통과 어깨 결림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혈자리입니다. 이 혈자리는 담경(膽經)에 속하며, 특히 머리와 목 부위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도와 눈의 피로뿐만 아니라 어깨와 목의 긴장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동자료혈은 눈 바깥쪽 끝에서 약간 바깥쪽으로 이동한 움푹 들어간 부분에 위치
동자료혈은 눈 바깥쪽 끝에서 약간 바깥쪽으로 이동한 움푹 들어간 부분에 위치

 

동자료혈은 눈 바깥쪽 끝에서 약간 바깥쪽으로 위치한 부위에 있습니다. 찾는 방법은 눈을 정면으로 바라본 상태에서 눈꼬리 끝에서 손가락을 바깥쪽으로 살짝 옮기면 뼈와 피부 사이의 약간 들어간 부분이 느껴지는데, 이곳이 바로 동자료혈입니다.

검지를 이용해 눈꼬리 바깥의 살짝 오목한 곳을 10초가량 원을 그리며 마사지해준다. 눈 주변의 혈액순환을 개선해주므로 안구건조증, 결막염, 야맹증, 눈의 피로, 근시 등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눈가의 주름을 개선하는 데도 좋다.


 

 

 

눈에 좋은 혈자리 승읍혈은 눈의 동공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승읍혈은 눈동자 바로 아래, 안구와 안와(눈 주위 뼈)가 만나는 부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쉽게 찾으려면 눈을 정면으로 바라본 상태에서 눈동자 아래쪽, 눈꺼풀 바로 아래 부위를 살짝 눌러보면 살짝 들어간 부위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승읍혈입니다.

 

승읍혈은 민감한 부위에 위치해 있으므로 강하게 누르기보다는 부드럽게 자극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지나 중지 손가락을 사용해 살짝 눌러주거나 가볍게 원을 그리듯이 마사지해주면 됩니다. 3초 정도 눌렀다가 떼는 동작을 반복하면 눈 주위의 피로가 덜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이곳을 따뜻한 손으로 지압하면 혈액 순환이 더 잘 되어 눈이 한결 편안해질 수 있습니다.

위경(胃經)에 속하는 혈자리로, 눈 주변의 피로를 풀어주고 시력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위경은 위장의 기능뿐만 아니라 안면부와 눈 주위의 순환에 영향을 미칩니다.

 


방광경 자리로  눈에 좋은 혈자리입니다.

 

 

눈에 좋은 혈자리 찬죽혈은 눈썹의 안쪽 끝 부위에 위치한다.
눈에 좋은 혈자리 찬죽혈은 눈썹의 안쪽 끝 부위에 위치한다.

 

 

찬죽혈은 눈썹 안쪽 끝, 즉 콧대와 눈썹이 만나는 부위의 움푹한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쉽게 찾으려면 눈썹을 따라 콧대 방향으로 손가락을 옮겨가다 보면 약간 들어간 부분을 찾을 수 있는데, 이 부위가 바로 찬죽혈 입니다.

찬죽혈을 자극할 때는 검지나 중지로 가볍게 눌러주거나 원을 그리며 천천히 마사지하면 좋습니다.
한 번에 3초 정도 눌렀다가 떼는 동작을 반복하면 눈의 피로가 풀리고,
눈 주위가 시원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눈이 자주 피로하거나 뻑뻑함을 느낄 때 이 부위를 자극해주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찬죽혈(攢竹穴)은 눈의 피로와 관련된 불편함을 완화하고, 눈 주위의 혈액 순환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자리입니다. 찬죽혈은 방광경(膀胱經)에 속하며, 이 부위를 자극하면 눈의 피로와 더불어 눈가의 붓기와 긴장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눈에 좋은 혈자리 정명혈은 눈 안쪽과 콧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눈에 좋은 혈자리 정명혈은 눈 안쪽과 콧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정명혈은 눈 안쪽 끝, 즉 눈과 콧대가 만나는 부위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부위를 찾으려면 눈동자를 중앙에 둔 상태에서 코 옆으로 살짝 이동한 눈 안쪽 끝을 눌러보면 약간 들어간 부위가 정명혈입니다.

정명혈을 자극할 때는 눈과 가까운 부위인 만큼 손가락 끝으로 부드럽게 눌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검지나 중지를 사용해 3초 정도 가볍게 눌렀다가 천천히 떼는 방식으로 반복 자극하면 눈의 피로가 덜어지고, 안구가 시원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손이 따뜻하다면 더욱 효과적이며, 눈 주위의 혈액 순환이 활발해져 피로가 빠르게 풀립니다.

정명혈(睛明穴)은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시력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자리로, 눈 주위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안구 건조와 눈의 뻑뻑함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 혈자리는 방광경(膀胱經)에 속하며, 자극하면 눈 건강과 더불어 눈 관련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외 간경락인  발에 위치해 있는 태충과 행간은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간경(肝經) – 간은 ‘혈(血)’을 저장하고, 눈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경의 주요 혈자리 중 눈 건강에 좋은 대표적인 혈은 **태충(太衝)**과 **행간(行間)**입니다.

눈과 간에 좋은 혈자리 태충
눈과 간에 좋은 혈자리 태충

태충(太衝) : 발등에 위치한 혈자리로,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 움푹 들어간 곳을 가리킵니다. 이곳을 자극하면 간의 기능을 도와 눈의 피로를 덜어주고 시력 보호에 도움이 됩니다. 엄지손가락으로 눌러주거나 원을 그리듯이 지압하면 좋습니다.

 

행간(行間) : 태충에서 약간 위쪽에 있는 곳으로,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을 누르면 간의 순환이 개선되며 눈의 붓기와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