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그림을 보면 정상 자세와 발목 문제가 있을 때 자세가 어떻게 변하는지 한눈에 볼 수 있어요. 왼쪽이 정상적인 자세이고, 오른쪽은 발목이 안 좋아졌을 때 나타나는 변화입니다.
🦶 발목과 허리의 연결성 쉽게 이해하기
우리 몸은 **”하나로 연결된 체인”**처럼 움직여요.
발목에서 문제가 생기면 바로 위쪽인 무릎 → 골반 → 허리까지 차례로 문제가 퍼지게 됩니다.
- 정상 자세(왼쪽 그림): 발목이 건강하면 양발로 고르게 몸무게가 분산돼요. 골반이 수평을 유지하고 척추도 똑바르게 유지됩니다.
- 발목 문제 발생(오른쪽 그림): 발목을 삐거나 힘줄이 약해지면 무의식적으로 그 발에 체중을 싣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러면서 반대쪽 다리에 더 많은 힘이 실리고 몸이 기울어지기 시작해요.
🚩 발목의 염좌나 힘줄 손상 시 나타나는 문제
발목을 삐거나 힘줄이 약해지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 보행 불균형: 아픈 발을 쓰지 않으려고 하면서 다른 발에 과도한 체중이 실려요.
- 골반의 기울어짐: 체중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골반이 한쪽으로 내려가거나 올라가면서 비뚤어져요.
- 척추의 휘어짐(측만): 골반이 비뚤어지면서 척추가 이를 보상하기 위해 휘어지면서 허리통증이 발생해요.
- 근육 긴장과 통증: 골반과 척추가 기울어지면 허리 근육이 긴장하고, 만성적인 허리 통증으로 이어져요.
비골근이 약해져서 발목이 안정성을 잃으면 통증과 불균형 유발
🚧 발목 문제로 인한 허리 통증의 구체적인 원리
1. 발목 불안정성
발목 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몸의 균형감각이 떨어지고, 걸을 때나 설 때 미세하게 흔들려요.
👉 이때 허리는 균형을 잡으려고 더 많은 노력을 하게 되면서 근육과 관절에 무리가 가게 됩니다.
2. 발목 염좌(삠)의 문제
발목을 삐게 되면 발목 인대와 힘줄이 늘어나거나 손상됩니다.
👉 발목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로 생활하면 발목은 계속 불안정해지고, 몸 전체의 균형이 깨지면서 허리 근육이 과하게 긴장됩니다.
3. 힘줄(아킬레스건 등)의 손상 및 약화
발목의 힘줄(예: 아킬레스건)이 약화되면 종아리 근육부터 허벅지, 엉덩이까지 연결된 근육들의 균형이 깨집니다.
👉 이 근육들의 불균형은 골반과 척추에도 영향을 미쳐 허리에 부담을 줍니다.
위 그림과 같이 자신의 몸을 평가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내 몸 체크 방법]
- 거울 앞에 똑바로 서기
- 발을 나란히 하고 편하게 서 보세요.
- 거울 속 골반 양쪽 높이가 같나요? 한쪽이 더 높거나 내려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 한 발씩 체중을 싣기
- 발목에 주의하며 왼발에만 체중을 실어 서 보세요.
- 이어서 오른발에만 체중을 실어서 서 보세요.
- 이때 통증이나 불편함, 균형을 잡기 힘든 발이 있는지 체크하세요.
- 걸어보기 (보행 평가)
- 천천히 직선으로 걸어보세요.
- 걸을 때 몸이 좌우로 기우는지, 발목이나 허리에 통증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위의 간단한 평가를 통해 자신의 발목과 허리의 연관성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발목과 허리는 서로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발목이 안 좋다면, 반드시 방치하지 말고 발목을 강화하거나 치료를 받아 허리로 통증이 확산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기억 포인트
-
허리통증이 계속된다면 발부터 체크하라!
-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발목 통증은 넘기고, 허리만 치료해요.
🧘 예방법
-
발목 안정화 운동 (예: 밴드 저항운동, 발끝 들기)
-
근막이완, 종아리·햄스트링 스트레칭
-
매트 위에서 맨발로 중심잡기 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