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른쪽의 빨간색 근육(후경골근) 옆에 작으만한 뼈(비골근)의 근육이 바로 비골근이다.
① 비골근의 한자 풀이와 기억하기 쉬운 설명
- 비골(腓骨)은 종아리의 바깥쪽 뼈를 뜻합니다. ‘비(腓)’는 ‘종아리’를 뜻하며, ‘골’은 ‘뼈’라는 의미입니다. 즉, 비골근은 다리 바깥쪽에 위치한 비골에 붙어 있는 근육입니다. 다리 바깥쪽에 있어 발목을 바깥쪽으로 돌리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골근 위치와 기시점 및 정지점
- 위치: 종아리의 바깥쪽에 위치
- 장비골근
- 시작점: 비골 머리 및 비골의 외측면 상부 2/3
- 정지점: 발바닥의 내측 설상골과 제1중족골 기저부
- 단비골근
- 시작점: 비골 하부 외측면
- 정지점: 제5중족골 기저부
비골근은 다리 바깥쪽 복사뼈에서 위쪽으로 3~5cm 부위를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발목을 바깥쪽으로 돌리면 근육이 움직이며 쉽게 만져
주요 기능과 실생활 예시
- 비골근은 발목을 바깥쪽으로 돌리고(외번) 발바닥의 균형과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발이 바깥쪽으로 접질리지 않도록 방지하며, 평지를 걸을 때 바닥을 지탱하는 기능을 합니다. 하이힐 착용 시 발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문제 예시:
비골근이 약해지거나 손상되면 발목이 자주 삐끗하거나 넘어지기 쉬워지고, 걸을 때 발목 바깥쪽에 불안정함과 통증을 자주 경험합니다.비골근이 약해져서 발목이 안정성을 잃으면 통증과 불균형 유발
발통증 위치를 보여주므로서 제주체형교정 운동으로 치료가가능하다. 설명
비골근 관련 주요 질환과 체형교정 방법
- 질환과 원인: 발목 외측 염좌, 족저근막염, 평발 및 무지외반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과도한 하이힐 착용, 발목을 자주 접질리는 습관, 한쪽으로만 체중이 쏠리는 자세가 주요 원인입니다.
- 해결방법:
발목을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는 저항밴드 운동, 까치발 들기 운동으로 근력을 키우고 밸런스를 개선합니다. 스트레칭과 함께 밸런스 보드를 활용한 안정성 운동이 좋습니다.비골근 강화 체형교정 운동(한 발로 서기)으로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다.
수기요법의 주요 작용 효과와 작용 원리
- 비골근의 긴장을 직접 이완하여 발목 가동성을 높이고, 순환을 촉진해 피로물질 배출과 회복을 돕습니다. 직접 근육을 압박하거나 주무르는 동작은 근육 내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여 통증 완화와 피로 회복 효과가 있습니다.
수기요법 시 비골근 트리거 포인트와 해결 방법
- 트리거 포인트는 비골 중앙과 바깥 복사뼈 주위에서 흔히 발견되며, 누르면 예민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손가락이나 마사지 도구로 해당 지점을 천천히 깊이 누르고 작은 원을 그리듯 마사지하면 근육의 긴장이 풀리며 증상이 개선됩니다.
비골근 이완을 위한 12경락 수기요법 방법
- 담경(족소양담경) 과 깊은 연관이 있어, 비골근의 긴장을 이완하려면 담경의 흐름을 따라 마사지하여 기혈 흐름을 돕습니다. 발목 외측을 따라 천천히 위에서 아래로 쓰다듬듯 누르고 비벼주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12경락 주요 혈자리와 내장기관 관계
- 비골근은 족소양담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현종혈:
위치 – 다리 바깥쪽 복사뼈에서 무릎 방향으로 약 5촌 지점, 비골 뒤쪽에 위치.
기능 – 근육 경련 완화, 발목 및 다리의 긴장 해소,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특히 허리와 하지 통증을 완화합니다. - 담경은 간과 담낭과 관련이 깊어 비골근 긴장이나 통증은 스트레스나 간 기능 저하와도 연관될 수 있습니다.
비골근 쉽게 촉진하는 방법
- 다리 바깥쪽 복사뼈에서 위쪽으로 3~5cm 부위를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발목을 바깥쪽으로 돌리면 근육이 움직이며 쉽게 만져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