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골근(정강이뼈) 위치와 기능|걸을 때 발등이 아픈 이유와 해결 운동법

1. 한자 풀이와 기억법

• 전(앞 전) + 경골(정강이뼈) + 근(힘줄 근)

‘정강이 앞에 있는 근육’을 뜻하며, 정강이뼈(경골)의 앞쪽에 위치해 다리를 위로 들어올릴 때 작동하는 근육입니다.

[기억 팁]

‘앞(전)에 있는 정강이뼈(경골)를 움직이는 근육’이란 뜻으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걸을 때 발끝을 들 때 힘을 주는 근육이 바로 전경골근!

편안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전경골근은 사진에 보면 근육이 덜 있는 발위에 있는 부분으로 다른 종아리 앞칸 근육들과 똑같이, 힘살로 시작했다가 발목 근처의 종아리 아랫부분에서 힘줄로 바뀌어서 위폄근지지띠와 아래폄근지지띠를 지난다.
전경골근은 사진에 보면 근육이 덜 있는 발위에 있는 부분으로 다른 종아리 앞칸 근육들과 똑같이, 힘살로 시작했다가 발목 근처의 종아리 아랫부분에서 힘줄로 바뀌어서 위폄근지지띠와 아래폄근지지띠를 지난다.

2. 근육의 위치와 부착점

• 위치: 종아리의 앞쪽에 위치, 바깥쪽 정강이뼈(경골)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옵니다.

• 기시점: 경골 외측면 상부 2/3 지점에서 시작

• 정지점: 발 안쪽 첫 번째 중족골과 내측 설상골 바닥 부착

 

 

3. 주요 기능

• 발등을 위로 당겨주는(배측굴곡) 주요 근육

• 발의 안쪽으로 회전(내번)시키는 기능

• 보행 시 발뒤꿈치 착지부터 발끝이 들리는 움직임을 돕습니다.

전경골근의 기능으로서 계단을 오르는 근육
전경골근의 기능으로서 계단을 오르는 근육

 

 

3-1. 실생활 예시 및 문제 발생 사례

• 걸을 때 발끝을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합니다.

• 전경골근이 약화되면 발이 처지고 끌리는 현상(족하수)이 나타나며, 오래 걷거나 서 있으면 종아리 앞쪽이 쉽게 피로해지거나 통증이 발생합니다.

전경골근의 문제가 있으면 생기는 체형불균형으로 인한 골반의 측만과 걷기 불균형
전경골근의 문제가 있으면 생기는 체형불균형으로 인한 골반의 측만과 걷기 불균형

 

4. 전경골근 관련 주요 질환과 원리, 해결 방법

• 질환 및 원인:

• 족하수(발 처짐), 평발, 발목 불안정성 유발

• 구두, 하이힐 장시간 착용 또는 오래 서 있으면 긴장도가 증가해 통증 발생

• 해결방법:

• 마사지, 폼롤러 마사지, 스트레칭(발등을 몸쪽으로 당기는 스트레칭), 저항성 밴드를 이용한 발목 운동(도르시플렉션 훈련) 실시

전경골근 불균형 교정을 위한 운동을 수행 앉은 자세에서 저항 밴드를 발에 걸고 발목을 위로 당기는 동작
전경골근 불균형 교정을 위한 운동을 수행 앉은 자세에서 저항 밴드를 발에 걸고 발목을 위로 당기는 동작

 

5. 전경골근이 긴장하거나 약해질 때 신체 변화

• 전경골근이 약화되면 족하수가 발생하여 발을 들어 올리기 힘들어지고, 보행 시 무릎이나 허리까지 무리가 가게 되어 허리 통증, 무릎 통증의 원인이 됩니다.

• 긴장 시에는 종아리 앞쪽 통증과 발목 움직임 제한, 발목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긴장으로 인해 뒤쪽에 있는 비복근과 가자미근이 보상적으로 긴장해 종아리 통증이나 경련이 생길 수 있습니다.

 

 

6. 쉽게 촉진하는 방법

• 의자에 앉아 발끝을 몸쪽으로 당기면 정강이뼈의 바깥쪽(종아리 앞쪽)에 단단히 튀어나오는 근육을 쉽게 촉진할 수 있습니다.

 

7. 수기요법과 트리거 포인트 관리

• 트리거 포인트:

정강이뼈 외측 상부에 나타나며, 눌렀을 때 발등과 엄지발가락 쪽으로 방사통 유발.

• 수기요법 효과 및 적용 방법:

엄지나 마사지 도구로 근육을 가볍게 압박하며 풀어주거나, 근막 이완 및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발등 쪽으로의 방사통과 근육 긴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7. 12경락 관련 주요 혈자리 및 내장기관과의 연관성

• 관련 경락: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 주요 혈자리:

• 족삼리(무릎 아래 정강이뼈 바깥쪽 오목한 부분 아래 3촌): 소화 기능 개선, 피로 회복, 다리 통증 완화에 탁월.

• 해계(발목 앞 중앙부에서 발목을 당겼을 때 움푹 들어가는 부위): 족하수, 발목 관절 통증, 발등 부위 통증 완화

• 내장기관 연관성:

족양명위경은 위장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전경골근의 긴장이나 피로가 위장관의 불편함(소화불량, 복부팽만 등)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