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경골근(後脛骨筋) 쉽게 이해하기
1. 한자 풀이와 기억하기 쉬운 설명
- 後(후): 뒤쪽
- 脛(경): 정강이뼈
- 骨(골): 뼈
- 筋(근): 근육
후경골근은 정강이뼈의 뒷면에 붙어 발바닥까지 이어지는 근육으로, 발의 아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걸을 때 발의 안정성을 돕습니다.
- **”정강이뼈 뒤쪽에 있는 근육”**으로 기억하면 쉽습니다.
2. 근육의 위치, 시작점 및 정지점
- 위치: 종아리 뒤쪽 깊숙이 위치
- 기시(시작점): 종아리 안쪽 뒷면(경골과 비골 뒷면 및 골간막)
- 정지(끝나는 곳): 발바닥 안쪽(주상골, 설상골, 중족골)
후경골근은 종아리 내측 깊은 곳에 자리한 근육으로, 발목 굴곡과 내전, 그리고 미세한 회전을 조절합니다. 이 근육은 발의 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보행 시 균형과 체형교정에 도움을 줍니다. 꾸준한 스트레칭과 강화운동은 후경골근의 유연성과 근력을 향상시켜 부상 예방과 전신 균형 개선에 기여합니다. 꾸준한 관리와 운동은 발 건강 및 체형 안정에 필수적입니다. - 주요 움직임은 발목의 안쪽으로 굽히기(내번), 발바닥 아래로 구부리기(족저굴곡)입니다.
- 운동법: 발가락 끝으로 수건을 잡아당기기, 발끝을 안쪽으로 모아 발바닥 아치 근육 강화하기 등입니다.
3. 주요 기능과 실생활 예시
- 기능: 발바닥의 내측 아치(족궁)를 유지하여 평발 방지, 발목을 안으로 돌리고 아래쪽으로 당김(내번과 족저굴곡)
- 예시: 맨발로 오래 서 있을 때 발의 아치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바닥의 안정성을 도와 발목 통증 예방.
- 문제 발생 시: 근육이 약하면 평발(족저근막염)이 생기고, 걸을 때 발목 안쪽 통증을 유발. 특히 장시간 서 있거나 걷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발통증 위치를 보여주므로서 제주체형교정 운동으로 치료가가능하다. 설명
8. 체형교정 주요 질환과 해결방법
- 주요 질환: 평발(발의 아치가 무너짐), 족저근막염, 내측 발목통증, 정강이 통증(신스플린트)
- 원인: 후경골근의 약화나 과긴장으로 인해 발의 아치가 무너져 다리에 부담이 커짐.
- 해결방법: 발가락 쥐기 운동, 발가락으로 타월 잡기, 뒤꿈치 들어 올리기(카프 레이즈)로 근력을 키워 아치를 강화하고 폼롤러나 손으로 후경골근 마사지 시행.
발통증 잘못된 자세로서 바른 자세로 돌아가기 위한 제주체형교정 바디PT 운동을 하면된다.
8. 수기요법 작용 효과 및 원리
- 효과: 후경골근을 부드럽게 풀어줘 통증을 완화하고 발의 아치를 정상화하여 보행 안정성 향상.
- 원리: 압박 및 마사지로 혈류와 림프 순환 촉진 → 근육의 긴장 완화 → 근육 기능 회복 → 통증 완화.
9. 트리거 포인트 해결 방법
- 트리거 포인트 위치: 정강이뼈 안쪽 중간에서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깊은 압통점.
- 해결 방법: 손가락이나 마사지볼을 이용하여 압통점을 천천히 압박하여 20~30초 유지하고 부드럽게 풀어줌으로써 긴장 해소.
10. 12경락 관련 근육 이완 방법
- 관련 경락: 비경(脾經)
- 이완 방법: 삼음교 혈자리 주변을 손가락이나 괄사 도구로 부드럽게 원형으로 마사지하면 후경골근의 긴장이 완화됨.
수기요법 방법:
- 삼음교 주변을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압박하면서 원을 그리듯 마사지하여 근육을 이완.
11. 12경락 주요 혈자리와 상관관계
- 혈자리: 족태음비경의 태계혈 (안쪽 복숭아뼈 뒤쪽 오목한 곳)
- 기능: 태계혈은 신장 기운을 보강하여 족부 통증, 하체 부종, 피로 완화 효과가 있습니다.
- 상관관계: 족태음비경은 비장과 신장 기능에 연결되어 있어, 후경골근 문제 발생 시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한 부종이나 피로감 등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12. 후경골근 촉진 방법(쉽게 찾기)
- 촉진 방법:
- 발목 내측 복숭아뼈 뒤쪽에서 손가락을 대고, 발을 아래쪽 및 안쪽으로 움직일 때 수축하는 근육을 느껴볼 수 있음.
- 마사지볼을 발목 안쪽 복사뼈 뒤쪽에 대고 천천히 굴려주면 간단하게 촉진할 수 있음.
13. 후경골근 상태 변화 시 신체 영향과 관련 근육
-
- 후경골근이 약화하면 발바닥 아치가 낮아지고 발목이 안쪽으로 무너져 종아리(비복근, 가자미근) 및 무릎(내측광근)의 통증과 피로가 유발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