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서기 힘들 때 풀어주는 ‘엉덩이 중간근육(중둔근) 골반 체형교정 운동

중둔근 이해하기한자 풀이와 기억법

• **중둔근(中臀筋)**은 ’가운데 중(中)’과 ’엉덩이 둔(臀)’으로, 엉덩이의 가운데 위치한 근육이란 의미입니다. 엉덩이의 가운데서 옆부분을 채워주는 근육이라 생각하면 쉽습니다.

위치 및 해부학적 구조

• 위치: 골반 측면의 엉덩이 부위에 있으며, 겉에 위치한 대둔근 바로 아래에 있습니다.

• 시작점: 장골의 바깥면 위쪽(장골능)

• 정지점: 대퇴골의 대전자(대퇴골의 위쪽 돌기)

중둔근은 고관절의 외전다리를 몸 바깥으로 벌리는 동작과 보행 시 골반을 안정화하는 역할
중둔근은 고관절의 외전다리를 몸 바깥으로 벌리는 동작과 보행 시 골반을 안정화하는 역할

 

주요 기능과 실생활 예시

• 중둔근은 **고관절의 외전(다리를 몸 바깥으로 벌리는 동작)**과 보행 시 골반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실생활에서는 걷거나 한쪽 다리로 서 있을 때 골반이 기울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중둔근이 약해지면 한쪽 다리로 서있을 때 골반이 반대쪽으로 처져 보행 시 좌우로 흔들리게 됩니다.

전경골근의 문제가 있으면 생기는 체형불균형으로 인한 골반의 측만과 걷기 불균형

주요 질환 및 원리, 체형교정 해결방법

• 주요 질환: 골반 불균형, 골반 측면 통증, 요통, 이상보행(트렌델렌버그 보행)

• 원인 및 원리: 중둔근이 약해지거나 단축되면 한쪽 골반이 높거나 낮아지면서 불균형한 자세를 만들고, 걷거나 서 있을 때 골반이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가 생깁니다.

• 해결방법: 클램쉘 운동, 측면 플랭크, 밴드를 이용한 힙 외전운동을 통해 중둔근을 강화하고 스트레칭을 통해 이완시켜 균형을 회복해야 합니다.

힙 브릿지 (Glute Bridge)운동으로 둔근(대둔근, 중둔근) 엉덩이, 햄스트리밍 근육을 만들기 근력운동
힙 브릿지 (Glute Bridge)운동으로 둔근(대둔근, 중둔근) 엉덩이, 햄스트리밍 근육을 만들기 근력운동

근육 상태 변화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 중둔근이 약하면 골반이 한쪽으로 기울고 척추의 정렬이 무너져 요통, 무릎 통증, 척추 측만증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보상작용으로 인해 요방형근, 요방형근, 이상근 등 주변 근육까지 함께 긴장됩니다.

사이드플랭크(side plank) 운동으로 중둔근 운동에 좋다.
사이드플랭크(side plank) 운동으로 중둔근 운동에 좋다.

쉽게 촉진하는 방법

• 옆으로 누워서 다리를 살짝 옆으로 들어올리면 골반 측면에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근육이 중둔근입니다. 손바닥을 골반 옆면에 대고 다리를 천천히 옆으로 벌릴 때 촉진할 수 있습니다.

수기요법의 주요 작용 효과와 트리거 포인트

• 중둔근의 트리거 포인트가 활성화되면 골반, 엉덩이 측면, 허벅지 외측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수기요법은 엄지손가락이나 팔꿈치로 중둔근의 압통점(트리거 포인트)을 지그시 눌러 압박 후 천천히 풀어줌으로써 혈류와 산소 공급을 촉진해 통증을 완화합니다.

12경락 주요 혈자리 및 관련 내장기관과의 관계

• 담경의 **환도혈(環跳)**과 연관이 깊습니다.

• 환도혈 위치: 골반 측면, 대전자(대퇴골의 돌출부) 위쪽으로 움푹 들어간 부위입니다.

• 기능: 골반과 엉덩이 부위의 통증, 요통, 좌골신경통 치료에 효과적이며, 담경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간·담의 기능을 돕습니다. 간·담의 기능이 저하되면 이 부위의 긴장과 통증이 자주 나타납니다. 중둔근 관리는 간·담의 기운 순환을 도와 소화기와 해독 기능 개선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